
| 한성숙 네이버 대표
네이버가 뉴스 댓글 운영 정책의 결정을 언론사에 넘겼다. 댓글 제공 여부부터 노출 순서까지 개별 언론사가 선택하도록 네이버 뉴스 댓글 정책이 개편된다. 이른바 ‘드루킹’ 댓글 사건 이후 댓글 여론 조작 관리를 제대로 못 했다는 비판이 네이버에 쏟아지자 내놓은 개편안의 연장선이다.
네이버는 10월22일 네이버 뉴스 서비스의 댓글 영역이 해당 언론사가 결정한 방식으로 운영된다고 밝혔다. 이번 정책 개편에 따라 섹션 별 기사에 대한 댓글 운영 여부를 포함해 댓글 노출 기준도 ▲최신순 ▲순공감순 ▲과거순 ▲공감 비율순 중 언론사가 선택한 기준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 언론사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댓글창
네이버는 ‘드루킹’ 댓글 사건 이후 지속해서 네이버 뉴스판에 대한 개편안을 내놓은 바 있다. 지난 4월에는 하나의 계정으로 동일한 기사에 쓸 수 있는 댓글 수를 하루 최대 3개로 제한하고, ‘공감·비공감’을 클릭하는 숫자도 한 계정 당 하루 최대 50개로 제한했다. 또 지난 5월에는 정치·선거 섹션 기사의 댓글을 최신순으로만 정렬하고, 이용자가 댓글 영역을 클릭했을 때만 볼 수 있도록 했다. 이번 개편도 지난 5월 ‘네이버 뉴스 및 댓글 개선 기자간담회’에서 발표된 내용을 실행한 것이다.
뉴스 편집권도 언론사에 넘기고 있다. 언론사들이 직접 배열한 기사들을 네이버 모바일 첫 화면에서 ‘채널’이란 이름으로 노출하는 방식이다. 네이버는 10월10일 네이버에서 배열하는 메인 뉴스를 없애고 언론사가 직접 배열한 기사와 인공지능(AI) 기반 추천 시스템 ‘에어스(AiRS)’가 추천한 뉴스를 내보는 네이버 모바일 앱 개편을 발표한 바 있다.
네이버는 “편집권과 댓글 정책까지 모두 언론사에게 넘기고 네이버는 연결이라는 본연의 가치에 더욱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댓글 서비스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뷰징 및 불법 콘텐츠 유통과 같은 비정상적 이용 대한 모니터링은 계속 네이버에서 진행한다.
유봉석 네이버 미디어&지식정보서포트 리더는 “뉴스 댓글 영역은 해당 기사를 보도한 언론사와 독자들 간의 소통 창구인 점을 감안해 댓글 허용 여부나 댓글 정렬방식을 해당 언론사가 결정하도록 하는 구조로 변경하게 된 것”이라며 “기사에 대한 독자들의 의견이 오가는 공론장으로서 댓글 서비스가 잘 활용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서비스운영에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